사이트 내 전체검색

 

 

 

제목 없음

 

 

제주유림의 영수 김희정(金羲正)

 

김희정(金羲正)은 입도조 좌정승공의 19세손으로 부친 김성휴(金性休)와 모친 전주이씨(全州李氏)사이에 장남으로 헌종 10년(1844년)에 조천에서 태어났다. 자(字)는 우경(佑卿)이고 호는 해은(海隱)으로 면암 최익현(勉菴 崔益鉉)의 문인(門人)이다. 호학자수(好學自修)하여 문학과 덕행으로 제주 유림(儒林)을 영도하였다. 고종 8년(1871년) 대원군(大院君)의 서원 훼철령(書院 毁撤令)에 의하여 제주에서도 212년간이나 학문의 요람으로 자리잡은 귤림서원(橘林書院)이 철폐되었다. 그 후 대원군이 실각하고 사정이 완화되자 김희정은 제주유림들을 규합하여 고종 29년(1892년) 귤림서원에 모셨던 오현(五賢:충암김정,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 동계 정온, 우암 송시열)의 덕(德)을 흠모하여 인재를 양성한 요람이니 의리상 제사라도 올리도록 할 것을 조정에 건의하자 이를 허락하였으므로 서원 사지(詞址)에 석단(石壇)을 쌓고 위패(位牌)를 상징하는 조두(俎豆)를 마련하여 춘추로 제사를 올렸다. 이것이 오늘에 오현단(五賢壇)이다.

 

고종 10년(1873년) 흥선대원군(興宣大阮君)의 실정을 탄핵하였다가 제주로 유배온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의 문인으로서 고종 12년(1875년) 2월에 방면되어 돌아갈 때까지 돌보았다. 그리고 고종 28년(1891년) 일본 어민(漁民)들이 제주 연안에 불법 침입하여 살인 등 횡포가 자행되므로 조균하(趙均夏)목사가 2차례나 조정에 보고하여 대책을 강구하도록 건의하자 조정에서는 박용원(朴用元)을 조사관으로 삼아 일본 영사관과 합동으로 조사하기로 하였다.

이때 김희정은 아들 항유(恒裕)가 승보시(陞補試)에 응시하기 위하여 상경하므로 이를 돌보기 위하여 서울에 체류 중이었으므로 조사단 수행원으로 임명되었다. 이에 그는 1891년 8월 8일부터 동년 9월 12일까지 그들과 동행하여 일을 주선하였는데 그간의 일들을 기록하여 도해록(蹈海錄)이라 하였다.

 

최익현이 이 기록을 보고 발문(跋文:책 끝에 책에 관하여 적은 글)에 이르기를 “이 글은 영주의 선비 김희정군이 출장 시 일기문이다. 도해(蹈海)라 이름한 것은 쇠세(衰世)라는 뜻이다. 이 기록은 창졸급거(倉卒急遽) 한 때에 있었던 일인데 문답을 주고 받는데 예의를 잃지 않고 말솜씨도 좋아 겨루기도 하고 구술리기도 하는가 하면 두려워하지도 않고 과격하지도 아니하여 능히 외국인으로 하여금 경심(敬心)을 불러 일으켜 감히 티끌만치도 거드름을 더하지 못하게 하였으니 자못 요지음 대소간 봉명자(奉命者)들에게는 듣지 못하였던 것이다. 진실로 이를 보는 자는 높은 이나 낮은 이나 각자 힘써 개연히 치욕을 잊어서는 아니 되고 밤낮으로 부지런히 정사(政事)를 밝게 하고, 기강을 바로잡으며 인재를 골라 쓰고, 민력(民力)을 배양하여 우리의 자치 실력으로 은연중에 외국인의 모독(冒瀆)에 대처해 나가면 저 오랑캐들이 백일하에 자행하면서 우리 강토와 5백년 예의정속(禮義正俗)을 짓밟을 수 있겠는가, 무릇 모든 군자(君子)들은 그 보는 눈을 높여 이로써 기준(基準)을 삼을 지어다”하였다.

그는 1910년 나라가 망하자 관직에 나갈 것을 단념하여 인술(仁術)로 눈을 돌려 1915년 의생(醫生) 면허를 받아 조천에서 인술을 펴다가 1937년 94세로 영면하였다.